식약처, 부당광고 집중 점검…220건 적발
최근 유튜브 쇼츠, 인스타 릴스 등 짧은 영상 콘텐츠(숏폼)에서 ‘다이어트’, ‘탈모’, ‘면역력’ 같은 키워드로 유혹하는 광고, 자주 보셨죠?
하지만 그중 상당수가 허위‧과대광고로 확인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SNS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식품과 화장품 광고 325건을 집중 점검한 결과, 무려 220건이 관련 법령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 무엇을 점검했나?
이번 조사는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1분 미만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소비자의 시청 이력이나 검색 반응을 기반으로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광고를 집중 분석했죠.
식품 225건 중 147건이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
화장품 100건 중 73건이 ‘화장품법’ 위반
⚠️ 식품 광고, 이런 방식이 문제였습니다
위반 유형 주요 예시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 효소식품·액상차 등에 '면역력 증진', '항산화' 문구 사용
질병 치료·예방 광고 '다낭성난소증후군 예방', '염증 억제' 등 표현
사실과 다른 표현 '기초대사량 상승', '배란일 단축' 등 근거 없는 문구
소비자 기만 광고 체험담, 사용 전후 사진으로 효과 과장
의약품 오인 광고 식욕억제제처럼 소개하며 약품처럼 홍보
⚠️ 화장품 광고, 이런 표현은 주의!
위반 유형 주요 예시
의약품 오인 '세포재생', '모발성장촉진', '탈모방지' 등 표현
소비자 오인 '인체줄기세포 화장품', '보톡스 크림', 'N살 어려진다' 등 시술 유사 문구
기능성 오인 미백·주름개선 등 허위 기능성 강조
✔️ 안전한 제품인지 확인하는 방법
제품 구매 전, 광고만 믿지 말고 공식 누리집에서 허가 정보를 꼭 확인해보세요!
건강기능식품 검색 (식품안전나라)
→ 메뉴: 식품·안전 > 건강기능식품 > 건강기능식품 검색
기능성 화장품 정보 (의약품안전나라)
→ 메뉴: 의약품 등 정보 > 의약품 및 화장품 품목정보 > 기능성화장품 정보
🧭 소비자가 지켜야 할 것
'다이어트 후기', '탈모 극복' 등은 과장된 사례일 수 있음
제품명, 업체, 기능성 여부 등은 공식 경로에서 꼭 확인
후기, 비교 사진 등은 단순한 마케팅 수단일 수 있음
🔎 식약처는 이렇게 대응합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과 연계해 불법 광고 차단 조치
디지털 광고 환경 변화에 맞춘 모니터링 강화
소비자 피해 예방 위한 법령 기준과 홍보 지속 확대
📌 짧고 자극적인 광고에 현혹되지 마세요.
정보는 공식에서, 구매는 신중하게.
믿을 수 있는 제품 선택, 여러분의 클릭 한 번에서 시작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