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피해자에게 비트코인(BTC)이나 테더(USDT) 등 가상자산을 직접 송금하도록 유도하는 ‘코인 기반 보이스피싱’ 범죄가 빠르게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수법은 기존의 계좌 송금 방식과는 달리, 피해자가 직접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출금하거나 개인 지갑 간 송금을 하도록 유도합니다. 이로 인해 자금 추적이 훨씬 어려워지고 있으며, 범죄자들은 자산을 여러 지갑으로 흩어 보내 추적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범죄자들은 주로 '가짜 채권 회수', '투자금 반환', '해외 송금 처리' 등의 명목을 내세워 피해자를 속입니다. 일부 사례에서는 피해자가 국내 거래소를 통해 송금한 자산이 수 시간 안에 해외 지갑으로 전송되거나, 믹싱 서비스로 자취를 감춰 회수가 거의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블록체인상에서 자산 이전이 완료되면 실질적인 회복이 사실상 어렵다는 점입니다. 수사기관도 피의자의 신원이나 지갑의 소유관계를 입증하는 데 시간이 걸려,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진현수 디센트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는 “가상자산 기반의 보이스피싱은 기존 금융사기보다 피해 복구가 훨씬 까다롭다”며, “이체 내역, 지갑 주소, 거래소 계정 정보, 통화 녹음 등 관련 증거를 신속하게 수집해 두는 것이 형사 고소와 민사상 회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범죄 조직이 이용한 거래소나 지갑이 파악된 경우에는 해당 거래소에 긴급 동결 요청을 하거나 수사기관을 통해 해외 협조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피해가 발생한 직후에는 전문 법률 자문을 통해 상황을 정리하고 형사·민사 절차를 동시에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일부 국내 거래소에서는 의심 거래에 대한 신고 및 협조 체계를 마련해두고 있지만, 피해자의 송금이 직접적인 범죄행위로 인정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회복이 어려운 사례도 많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초기 대응과 법률적 분석, 전략적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