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청각장애인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양방향 수어 통역 키오스크를 개발했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충남대학교병원, 한국농아인협회, 이큐포올 등과 협력하여, 병원 내에서 청각장애인들이 의료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의료 수어 서비스 키오스크를 선보였습니다. 이번 개발은 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술 혁신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인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의료 수어 서비스 키오스크란?
ETRI가 개발한 의료 수어 서비스 키오스크는 청각장애인이 병원에서 건강검진 문진표를 작성할 때 수어를 통해 내용을 이해하고 답변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입니다. 특히 한글을 읽기 어려운 청각장애인들이 수어로 안내받고 응답할 수 있어 병원 내 의료 서비스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키오스크 화면 속 아바타가 문진표 내용을 수어로 해석해 제공하며, 청각장애인 역시 수어로 답변을 하면 키오스크가 이를 한국어로 변환하여 자동 기록하는 양방향 통역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들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의료진에게 더 정확히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따뜻한 ICT 기술
의료 수어 서비스 키오스크의 도입은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감염병 정보, 백신 접종 안내 등이 다양한 경로로 제공되고 있지만, 청각장애인들에게는 이러한 정보에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번 키오스크는 수어로 중요한 정보를 쉽게 전달해 청각장애인들이 필수적인 의료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ETRI는 이미 방송미디어 기술을 바탕으로 수어방송, 수어통역 아바타 기술 등을 연구해왔으며, 이러한 원천 기술을 활용해 의료 수어 통역 키오스크 개발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ETRI 연구진은 한국농아인협회와 함께 청각장애인 대상으로 키오스크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청각장애인들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을 돕는 이 기술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향후 병원에서의 실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 사항을 추가로 확인할 계획입니다.
또한, ETRI는 키오스크 기술을 고도화하여 비대면 예약시스템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로 확대 적용하고자 합니다. 특히, 장애인 편의 향상을 위해 베리어프리 키오스크 업체나 관련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전국적으로 보급할 계획입니다.
청각장애인에게 따뜻한 디지털 세상 구현
ETRI 미디어연구본부 이태진 본부장은 “모든 사람이 인공지능 시대에 필수적인 사회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며 “취약계층을 위한 따뜻한 ICT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기술 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으로 진행된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료현장 양방향 수어 동시통역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충남대학교병원과 한국농아인협회 등이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번 의료 수어 서비스 키오스크는 청각장애인의 의료 접근성 향상과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중요한 사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기술 개발과 적용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