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성 자영업자들이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여성 자영업자 10명 중 7명이 저녁 6시에서 10시 사이의 밤시간에도 사업체를 운영하며, 잦은 근무와 긴 근무시간으로 인해 일상과 생계를 조화롭게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은 경기도 여성 자영업자들의 노동환경을 주제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10월 29일, 제13차 경기GPS(Gender Policy Seminar)를 개최합니다. 이번 세미나는 재단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구읏TV’에서 생중계되며, 1,1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25명의 심층 면접조사 결과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여성 자영업자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휴무 부족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여성 자영업자들은 월평균 25~30일을 일하고,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4.9%는 정기 휴무일이 없으며, 68.3%는 공휴일에도 영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72.2%의 응답자가 저녁 시간인 18시에서 22시까지 영업을 하고 있어,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추기 힘들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여성 자영업자들이 느끼는 안전 문제와 사업 지속 의지
여성 자영업자들이 안전 문제에 대해서도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폭력 범죄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1.5%에 불과했고, 여성폭력 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도 39.3%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응답자의 87.5%는 현재 사업체를 계속 유지할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 자영업자들의 생계와 직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전문가와 함께 여성 자영업자 지원 방안 모색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형옥 재단 선임연구위원이 ‘경기도 여성 자영업자 노동환경 실태와 과제’라는 주제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김미선 이화여대 연구교수가 면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자영업자들이 겪는 다양한 어려움과 사회적 인식, 차별, 안전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후 전문가, 도의원, 공무원 등이 모여 여성 자영업자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강은애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여성가족정책팀장, 홍미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최민 경기도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위원 등이 토론에 참여하며, 윤자영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 토론을 이끌어갑니다.
김혜순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정책 세미나는 경기도 여성 자영업자들의 노동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자리”라며, “경기도 여성 자영업자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세미나를 통해 경기도 여성 자영업자들의 어려운 현실과 그에 따른 지원 필요성이 조명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경기도와 재단의 실질적인 지원 정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