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혁신적인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이며, B2B 시장에서 고객 공간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2월 4일부터 7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전시회 ISE 2025에서 ‘맞춤형 솔루션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Customized Solutions, Optimized Growth)’을 주제로 전시관을 구성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매장, 사무실, 학교, 교통수단, 호텔 등 다양한 B2B 고객 환경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맞춤형 ID(Information Display) 솔루션을 선보인다.
AI 기술이 적용된 ‘키네틱 LED’, 공간의 가치를 높이는 광고 솔루션
전시관 입구에는 초대형 ‘키네틱(Kinetic) LED’가 설치돼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광고 경험을 제공한다. 가로 7.18m, 세로 4.09m 크기의 디스플레이는 LED 사이니지 88장과 거울을 결합한 정육면체 모듈로 구성됐으며, 각 모듈이 좌우로 360도 회전해 다채롭고 역동적인 시각적 효과를 연출한다.
관람객은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스캔해 사진을 업로드하면, AI가 이를 팝아트로 변환해 LED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은 키네틱 기술 전문 기업 이지위드와 협업해 개발됐다.
이와 함께 ▲AI 기반 리테일 매장 트래픽 및 행동 데이터 분석 기업 트리플렛 ▲학교 출입 관리 및 긴급 상황 대응 솔루션 전문 기업 코코모 24/7 ▲버추얼 프로덕션 전문 장비 및 솔루션 기업 모시스, 메가픽셀, 브롬톤 ▲기업용 화상회의 솔루션 기업 로지텍, 시스코, 크레스트론 ▲사이니지 전용 콘텐츠 관리 솔루션 기업 브라이트사인 등과 협력해 다양한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다.
고객 요구를 반영한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LG 매그니트’ 업그레이드
이번 전시에서는 한층 진화한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LG 매그니트’의 업그레이드 버전도 공개된다. LG전자는 B2B 고객의 요구를 반영해 사용 및 설치 편의성, 콘텐츠 호환성, 에너지 효율성을 강화한 LG 매그니트를 선보인다.
기존에는 제품 뒤쪽에서만 가능했던 LED 모듈 간 단차 조절을 앞에서도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해 설치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LED 컨트롤러 기능을 강화해 의도한 색감, 화질, 해상도를 최적의 상태로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화면을 껐을 때의 대기 전력을 최대 98% 절감해 에너지 효율성도 향상됐다.
‘변색 최소화’ 고휘도 사이니지 최초 공개… 실외에서도 선명한 화질 유지
올해는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화면이 황변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안티 디스컬러레이션(Anti-Discoloration)’ 기술이 적용된 고휘도 사이니지를 새롭게 선보인다. LG전자는 지난해 글로벌 시험·검증기관 UL 솔루션즈(UL Solutions)로부터 업계 최초로 디스플레이 변색 저항 특성 검증을 획득한 이후, 이번 전시를 통해 이를 최초 공개한다.
사이니지 방열 기술을 개선하고 태양광에 강한 소재를 적용하는 등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해당 기술을 도입했다. 또한, 드라이브스루 매장, 실외 수영장, 버스 정류장 등 다양한 외부 환경을 연출해 황변 현상 방지에 최적화된 사이니지 라인업을 선보인다.
영국·EU 화재 안전규격 취득… 고객 안전까지 고려한 사이니지 전시
소매 매장을 연출한 리테일존에서는 고객 안전을 고려해 화재 안전규격을 취득한 사이니지와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맞춤형 2세대 키오스크 등 상업용 디스플레이 솔루션이 전시된다.
특히, 리테일존에 전시되는 사이니지 3개 모델(US5P, UV5N, UP5Q)은 글로벌 인증기관 SGS와 TUV 라인란드로부터 영국(BS476) 및 EU(EN13501-1)의 화재 안전기준을 충족하는 인증을 받았다. LG전자는 해당 모델을 포함해 총 22개 모델에서 같은 인증을 획득했다.
또한, LG전자 전시관에서는 교육 및 산업 현장에서 양질의 콘텐츠와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칠판과 상업용 디스플레이 운영·관리 솔루션 통합 플랫폼 ‘LG 비즈니스 클라우드’도 경험할 수 있다.
LG전자 MS사업본부장 박형세 사장은 “다양한 B2B 고객 공간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며, B2B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