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공단이 여름철 바닷가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태안해안국립공원 등 4개 해상·해안 국립공원의 물놀이 위험지역 22개소를 공단 누리집(www.knps.or.kr)에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공단이 파악한 해상·해안 국립공원 물놀이 위험지역은 태안해안 15곳, 변산반도 3곳, 다도해해상 3곳, 한려해상 1곳 등이다.
물이 찼을 때 갑자기 수심이 깊어지고 썰물이 시작되면 물살이 빨라져 수영선수조차도 수영이 쉽지 않은 지역이다.
갯골은 물이 찼을 때 갑자기 수심이 깊어지고 썰물이 시작되면 물살이 빨라져 수영선수조차도 수영이 쉽지 않다.
유형별로는 바다갈라짐길 5곳, 갯골 1곳, 조수웅덩이 2곳, 이안류 7곳, 해저급경사 7곳으로 조사됐다.
바다갈라짐 현상은 해수면이 낮아지는 저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지만 만조시에는 도보이동이 불가능한 섬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모르고 저조시 섬에 들어갔다가 물이 차오를 때 급히 빠져나오려다 사고가 발생한다.
지난 2009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원 3명이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해양조사활동 중 순직한 지역은 저조시에 육지와 하섬이 연결되는 바다갈라짐길 지역이었다. 당시 순직한 연구원들은 물이 빠른 속도로 차오르자 이에 놀라 급히 빠져나오려다 넘어지며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갯골은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기를 반복하면서 갯벌에 생기는 좁고 긴 수로를 가리킨다. 물이 찼을 때 갑자기 수심이 깊어지고 썰물이 시작되면 물살이 빨라져 수영 선수조차도 빠져나오기 쉽지 않은 지역이다.
지난해 태안군 사설 해병대 캠프에서 고등학생 5명이 사망한 사고도 바닷물 속에서 뒷걸음질을 치다가 수심이 깊은 갯골에 빠지면서 발생했다.
이안류는 해안쪽으로 밀려들어오던 파도가 갑자기 먼 바다 쪽으로 빠르게 되돌아가는 해류로써 이안류에 휩쓸리면 순식간에 바다쪽으로 밀려나가게 돼 조난을 당하기 쉽다.
공단은 이들 물놀이 위험지역 22개소를 여름철 핵심관리지역으로 설정하고 안전관리반 배치, 119구조대 합동근무, 순찰활동 강화 등을 실시한다.
아울러 탐방객이 위험지역임을 알 수 있도록 안내표지판과 현수막을 설치하고 수시로 안내방송을 할 예정이다.
김진광 공단 안전대책부장은 “여름철 물놀이 안전은 스스로 조심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음주 후 물놀이나 금지구역에 들어가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