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앞세워,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 혁신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최근 안산시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2025년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됐다. 5.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최종 대상지로 이름을 올리면서, 국비 80억 원과 지방비 80억 원 등 총 16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게 됐다. 시는 이 예산을 바탕으로 오는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스마트도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도시 솔루션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안산시는 스마트도시 혁신의 기반으로 ‘스마트 행정’을 꼽았다. 지난 4월 출범한 ‘AI 행정혁신 추진단’에는 공무원은 물론, 한양대학교 교수진과 민간 전문가가 참여해 AI·IoT 기반 행정 시스템 구축, 정책 개발, 공공서비스 고도화 등의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빈 주차 공간 실시간 안내, 교통신호 최적화, 다국어 통합 안내 플랫폼 등 시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초지역호수공원한양대ERICA~도시정보센터를 잇는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와, 다문화 도시 특성에 맞춘 다국어 통합 행정 플랫폼, AI 기반 맞춤형 교육 서비스 등도 추진된다. 도시정보센터와 중앙도서관에는 AI 기반 에너지·시설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공공시설의 에너지 사용량을 20% 이상 절감하고, 탄소배출도 대폭 줄일 계획이다.
안산시는 이러한 혁신적 시도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전국 지자체가 참고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 표준 모델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안산의 스마트도시는 기술 혁신을 넘어 시민·기업·전문가·행정이 함께 성장하는 협력형 플랫폼”이라며, “스마트도시 혁신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안산시가 추진하는 스마트도시는, AI가 설계하고 데이터가 움직이며, 시민이 그 변화를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는 도시다. 앞으로 펼쳐질 안산의 스마트 혁신이 많은 기대를 모으는 이유다.